여행이 인생, 인생이 곧 여행! 김영하의 여행의 이유

김영하, 알쓸신잡을 보고 그분의 매력에 팬이 되었고, 이렇게 그분의 산문집까지 읽으며, 김영하 작가님은 여행이란 개념을 어떤 식으로 풀어냈을까 기대했다. 

 

작가라는 직업을 가진 분이 느끼는 여행과 보통 사람들이 여행에서 얻으려는 기대치는 분명 다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영하 작가님이 말하는 여행의 본질에 깊은 공감이 되었다. 김영하 작가님의 여행으로 삶의 본질을 보는 시선이 아름다웠다. 

 

책을 읽고 나서 나에게 여행이란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현재를 행복하기 살기 위한 것이고, 지친 일상에 힐링을 주는 것이고, 돈을 버는 이유가 어쩌면 여행하며 행복하기 살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 적도 있다. 

 

여행을 가서 처음 보는 낯설지만 새로운 광경들을 보며 이 세상은 넓고 나는 아주 작은 먼지에 불과하다는 느낌을 자주 느끼곤 했다. 내가 미처 보지 못했던 세계들이 더 많다는 사실에 인생을 허투루 보내서는 안된다는 다짐을 하며 일상으로 돌아와서 현실을 사는데 힘이 돼주는 느낌이 좋아 여행을 좋아한다. 이 책을 읽고 당장 여행을 떠나고 싶어져 여행 계획을 세워본다.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여행을 즐기게 될 것 같다.

 

 

사람들이 여행기를 좋아하는 이유 

사람들은 소설이나 여행기를 좋아한다. 나만 해도 여행기를 읽으면 대타 만족 같은 느낌이 들곤 했는데, 여행기를 좋아하는 이유가, 우리가 표면적으로 원하는 것과 내면이 원하는 것이 다름에 기인한다고 한다.

여행에 있어 우리는 모든 일정이 무사히 진행되기를 바라면서도 내면에선 뜻밖의 경험과 마법 같은 순간을 경험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여행기란 본질적으로 무엇일까? 그것은 여행의 성공이라는 목적을 향해 집을 떠난 주인공이 이런저런 시련을 겪다가 원래 성취하고자 했던 것과 다른 어떤 것을 얻어서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여행은 상처를 담은 공간에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오래 살아온 집에는 상처가 있다. 지워지지 않는 벽지의 얼룩처럼 온갖 기억들이 집 여기저기에 들러붙어 있다. 가족에게 받은 고통, 내가 그들에게 주었거나, 그들로부터 들은 뼈아픈 말들은 사라지지 않고 집 구석구석에 묻어 있다. 집은 안식의 공간이지만 상처의 쇼윈도이기도 하다. 그래서 여행은, 여행지에서의 호텔은 ‘슬픔을 몽땅 흡수한 것처럼 보이는 물건’들로부터 완벽하게 자유롭게 한다. 

 

 

여행하는 인간, 호모 비아토르 Homo Viator

철학자 가브리엘 마르셀은 인류를 호모 비아토르 Homo Viator, 여행하는 인간으로 정의하기도 했다. 인간은 끝없이 이동해왔고 그런 본능은 우리 몸에 새겨져 있다. 

여행은 어디로든 움직여야 생존을 도모할 수 있었던 인류가 현대에 남긴 진화의 흔적이고 문화일지도 모른다. 피곤하고 위험한데다 비용도 많이 들지만 여전히 인간은 여행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아니, 인터넷 시대가 되면 수요가 줄어들 거라던 여행은 오히려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여행이란 오직 현재에 머물게 한다

보통의 인간들 역시 현재를 살아가지만 머릿속은 과거와 미래에 대한 후회와 불안으로 가득하다., …여행은 그런 우리를 이미 지나가버린 과거와 아직 오지 않은 미래로부터 끌어내 현재로 데려다놓는다. 여행이 끝나면, 우리는 그 경험들 중에서 의미있는 것들을 생각으로 바꿔 저장한다. 

내가 여행을 정말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는 과거에 대한 후회와 미래에 대한 불안, 우리의 현재를 위협하는 이 어두운 두 그림자로부터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여행은 우리를 오직 현재에만 머물게 하고, 일상의 근심과 후회, 미련으로부터 해방시킨다.

 

 

내가 한 여행만이 진짜 여행은 아니다. 수많은 여행 안내서와 여행 에세이가 사라지는 않는 이유

여행의 경험은 켜켜이 쌓여 일종의 숙성과정을 거치며 발효한다. 한 층에 간접경험을 쌓고 그 위에 직접경험을 얹고 그 위에 다시 다른 누군가의 간접경험을 추가한다. 내가 직접 경험한 여행에 비여행, 탈여행이 모두 더해져 비로서 하나의 여행 경험이 완성되는 것이다. 내 발로 다녀온 여행은 생생하고 강렬하지만 미처 정리되지 않은 인상으로만 남곤 한다. 일상에서 우리가 느끼는 모호한 감정이 소설 속 심리 묘사를 통해 명확해지듯, 우리의 여행 경험도 타자의 시각과 언어를 통해 좀 더 명료해진다.

 

 

여행은 일상으로부터의 탈출, 자기 비움

여행은 아마 일상으로부터의 탈출을 의미했을 것이다. 어둠이 빛의 부재라면, 여행은 일상의 부재다. 

여행은 분명한 시작과 끝이 있다는 점에서도 소설과 닮았다. 설렘과 흥분 속에서 낯선 세계로 들어가고, 그 세계를 천천히 알아가다가, 원래 출발했던 지검으로 안전하게 돌아온다. 우리는 안전하고 지루한 일상을 벗어나 여행을 떠나고 싶어한다. 거기서 우리 몸은 세상을 다시 느끼기 시작하고, 경험들은 연결되고 통합되며, 우리의 정신은 한껏 고양된다. 그렇게 고양된 정신으로 다시 어지러운 일상으로 복귀한다. 아니, 일상을 여행할 힘을 얻게 된다. 

자기 의지를 가지고 낯선 곳에 도착해 몸의 온갖 감각을 열어 그것을 느끼는 경험, 한 번이라도 그것을 경험한 이들에게는 일상이 아닌 여행이 인생의 원점이 된다. 

 

 

여행을 꿈꾸는 이유를 본질적으로 꿰뚫는 작가님의 시선이 참 멋지다.

 

 

 

댓글

제목과 URL을 복사했습니다